종이인형. 지금은 보기가 어렵지만, 옛날에 종이인형이 있었다. 종이 위에 인형을 비롯한 각종 유니폼과 물품들이 프린트돼 있었고, 그렇게 프린트된 이미지 그대로 오려서 인형놀이를 놀게 한 것이다. 인형에게 어떤 유니폼을 입히는지에 따라서 인형은 학생이 되었다가 사무원이 되기도 하고, 발레리나가 되었다가 스튜디어스가 되기도 한다. 인형으로 대리되는 한 인격체 속에 잠재된 사회적 주체의 지점들을 발굴하고 덧입히는, 연출하고 실현하게 해주는 인형놀이는 어쩌면 유아들로 하여금 어른들의 놀이 즉 반복적인 일상과 하이어라키로 구조화된 사회적 현실을 예비적으로 체험케 한 일종의 역할극이며, 사회놀이 혹은 주체놀이였는지도 모른다.
특히 인형으로 하여금 자유자재한 변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유니폼은 사회적 규범을 상징하며, 그 사회적 규범을 덧입고서야 비로소 인간은 사회적 주체로서 거듭날 수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치 제도가 개인을 이데올로기적 주체로서 호명한다는 루이 알튀세의 전언에서처럼. 그러므로 인형의 자유자재한 변신은 이런 사회적 규범의 틀 속에서의 변신에 지나지가 않으며, 단지 자유자재하게 보일 뿐 사실은 자유자재하지가 않은 변신이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이처럼 자유롭게 보일 뿐 사실은 억압된 삶을 사는 인형들이며, 제도에 의해 양육되는 꼭두각시들일지도 모른다. 이상덕의 그림은 이런 종이인형을, 인형놀이를 떠올려준다. 아마도 그 처음 착상을 이렇듯 가상놀이로부터 얻어왔을 것이며, 그 가상놀이가 최소한 무의식적인 실마리 역할을 했을 것이다.
전개도 인간. 인형놀이에서 유니폼이 사회적 규범과 틀을 상징한다면, 전개도 인간에서는 전개도가 그 역할을 도맡는다. 모눈종이(사실은 일종의 판법을 이용해 화면 위에 모눈종이 그대로를 재현한 것으로서, 이후 근작에서 또 다른 형태로 변주된다)를 바탕으로 그 위에 전개도 형식의 인간형상이 재현돼 있는데, 사람들이 하나같이 전개도 속에 갇혀있다. 그리고 그들은 < 출근시켜주세요 >라거나 < 퇴근시켜주세요 >라고 호소한다. 이 호소는 마치 그들 스스로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으니, 전개도 그대로 오려내 조립해 달라는 호소처럼 들리고, 오롯한 형상으로 복원해 달라는 호소처럼 들린다. 모르긴 해도 그렇게 타의에 의해서 조립되고 복원된 연후에야 그들은 비로소 출근할 수도, 퇴근할 수도, 일상적인 삶을 살아갈 수도 있게 될 터이다. 논리적으로 전개도 인간은 전개도를 조립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정체성을 실현할 수가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미리 주어지거나 전제된 한정된 정체성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다. 마치 자유자재한 것처럼 보이는 인형의 변신이 알고 보면 다만 사회적 규범을 의미하는 유니폼을 갈아입는 행위에 지나지 않은 것처럼.
이처럼 자기 스스로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는 무기력한 개인이나, 전개도로 상징되는 제도에 의해 주어진 특정의 정체성만을 수행할 수가 있을 뿐인 수동적인 개인이 제도와 개별주체와의 관계에 대한 미셀 푸코의 전언을 떠올려준다. 즉 옛날에 제도는 개인의 몸을 직접 억압하는 방식(이를테면 감금이나 고문이나 추방과 같은)으로 개별주체를 감시했었다. 그리고 이후 점차 삶의 환경이 문명화되면서 그 역할을 교육이 떠안는다. 즉 무엇이 정상이고 비정상인지를 교육시키고 내재화한 것인데, 그렇게 내재화된 연후에는 더 이상 제도가 개별주체를 감시하지 않아도 된다. 개별주체 스스로가 자기 자신을 감시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전개도로 상징되는 규범화된 인간이나 틀화된 인간은 처음에는 제도가 그렇게 한 것이지만, 점차 개별주체 스스로 자기 자신을 규범에 맞추고 틀에 맞춰나간 나머지 마침내 꼼짝할 수가 없는 지경에 이른 것이다. 전개도 인간 시리즈 작업은 이렇듯 제도와 개별주체와의 억압적인 관계에 대한 작가의 주제의식을 반영한다. 이중인격과 다중인간, 분절되고 해체되는 나. 종이인형이나 전개도 인간은 하나같이 제도에 의해 주어진 정체성을 자기 정체성과 동일시하는 대리적인 삶을 산다는 점에서 페르소나 곧 제도적이고 사회적인 주체에 해당한다. 이렇듯 제도적이고 사회적인 주체가 진정한 주체일 수는 없다. 프로이트는 인간을 욕망의 동물로 정의한다. 욕망이 진정한 주체라는 말이다. 그러나 그 욕망은 필연적으로 제도에 의해 억압될 수밖에 없는데, 이때 개별주체가 욕망 대신 제도에게 내어준 주체가 바로 페르소나다. 결국 인간은 진정한 주체인 욕망을 숨기면서 외형상으론 페르소나로 대리되는 삶을 사는 이중적 존재며 자기 분열적 존재다. 자크 라캉이 인간의 존재를 결여와 결핍에서 찾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인간의 비극은 이처럼 실현 불가능한 욕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욕망충동으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는 사실에서 온다. 어쩌면 자기를 실현하려는 욕망과 그 욕망을 억압하려는 개별주체와 제도와의 각축이 존재하는 한, 그리고 개별주체 내부적으론 이상과 현실의 괴리가 존재하는 한 이중인격과 다중분열은 피할 수 없는 일일지도 모른다.